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운전대를 잡고 있는 사람들의 심리와 연구방법의 한계

운전 심리에 대한 여러 재미있는 결과들을 이야기하기 전에 오늘은 운전 심리학의 근거가 되는 통계치에 대해 전문가들이 지적한 한계점을 이해하는 시간을 가져 보겠습니다! ^^

 

운전심리는 통계수치를 기반으로 하여 다양한 해석들을 풀어내기 때문에 그 연구 한계를 알면 현상에 대한 이해가 더욱 쉽겠지요~ 그럼 Let's go!

 

첫째, 사고의 원인에 대한 교통사고 통계치는 정확할까요?

 

신문을 보면, 휴대폰 사용이나 졸음운전으로 인한 교통 사고율에 대한 수치를 간혹 살펴볼 수가 있습니다~ 하지만 전문가들은 사고가 났을 때 휴대폰 사용이나 피로와 같은 단편적인 원인만으로 인해서는 교통사고가 발생하지는 않는다는 점을 지적합니다.

 

 

 

실제로 교통사고는 운전 미숙, 다른 차량 운전자의 행동이나 도로상태 등 운전자를 둘러싼 다양하고 복합적인 상황들에 영향을 받기 때문입니다.

 

둘째, 교통사고율에는 진짜 운전하는 사람들만 포함될까요?

 

교통 참여율이란 쉽게 말해 ‘운전에 참여하는가?’ 라고 생각해볼 수 있는데요~

예를 들어 '20대 남성의 교통사고 수치가 30대 남성보다 60%이상 낮다'라는 식의 통계수치만 보고 30대 남성의 교통사고율이 훨씬 높다고 단정적으로 이야기 할 수는 없다는 점을 지적하는 내용입니다.

 

 

만약 20대 남성들의 다수가 장롱면허 상태의 미숙한 운전을 하는 것이 아니라면, 운전자 수에는 포함이 되지만 실제로는 사고가 발생할 수 있는 가능성이 0%인 표본들이 다수 존재하게 됩니다.

 

이로인해 과실기반 교통참여율 추산 기법을 사용하기도 하는데, 그 내용은 후에 다뤄보도록 할께요! ^^

 

셋째, 그렇다면 직접 물어보는 방식은 어떨까요?

 

전문가들은 운전심리를 파악하기 위해 직접 대화를 나누는 면접법을 사용하기도 합니다.

 

 

하지만 이는 면접에 참여한 대상의 기억력에 한계가 있기 때문에 이미 지나버린 사고에 대한 정확한 정보를 얻기 어려운 방식이며, 대상이 사람이기에 자신에게 불리하거나 감추고 싶은 부분에 대해 솔직하게 이야기하기를 꺼려할 수도 있습니다.

 

넷째, 직접 관찰하는 방법은 어떨까요?

 

실제 일상생활에서 운전자들을 관찰하면 굉장히 신뢰도가 높은 정보를 얻을 수 있겠지요.

 

 

하지만 운전자들을 잡아 세워서 왜 그렇게 행동했는지 물어볼 수가 없기에 그 심리상태를 알기가 매우 어렵습니다.

또한 원하는 장소, 원하는 시간에 교통사고를 발생시킬 수가 없기 때문에 실질적으로 실행하기 어려운 방법이 되겠지요~ ^^

 

다섯째, 실험을 하는 방법이 있잖아요!

 

통제된 상황에서 실험을 하는 방식은 피실험자에게 실험에 참여한다는 인식을 주기에 심리에 많은 영향을 미치게 됩니다. 때문에 진짜 심리를 알기가 쉽지 않게 됩니다.

  

 

또한 피실험자로 참여하는 사람은 강제로 뽑히는 것이 아니라 공고를 통해 스스로 지원하는 사람을 뽑게 되기에 대부분 신체적으로나 정신적으로 건강한 사람들로 진행됩니다. 기억력, 시력 등 자신의 부족함을 드러내기 싫어하는 사람은 지원하기 망설이게 되므로 다양한 운전자들의 심리를 반영하기에는 다소 문제가 될 수 있는 부분입니다.

 

때문에 어느 한가지 연구방법이 아닌, 다양한 연구방법이 복합적으로 반영되어야 하는 것이 운전심리학입니다. ^^

다소 난해하지만 재미있는 운전심리... 앞으로는 다양한 각도에서 생각해보자구요! ^^

 

이상 블링블링 엘우즈 였습니다~^^